컴퓨터구조(3) - 컴퓨터 연산(3)

‘컴퓨터 구조 및 설계’를 공부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.

5. 부동소수점

기본 지식

  • 예시 : 2.718 X 10^-8 (정규화된 과학적 표기법)
  • 과학적 표기법
    • 소수점의 왼쪽에는 한 자리 수만이 나타나게 하는 표기법
  • 정규화된 수
    • 선행하는 0이 없는 부동소수점 표기법으로 나타낸 수
  • 부동소수점(floating point)
    •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수로 표현하는 컴퓨터 연산

부동소수점 표현

  • 32bit(CPU가 처리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: 레지스터)를 중심으로 설명해보고자 한다.
  • 소수 부분(Fraction)
    • 위의 예시에서 2.178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한다.
    • bit[22:0], 총 23bit (22, 0을 포함하여 그 사이 구간)
  • 지수 부분(Exponent)
    • bit[30:23], 총 8bit (30, 23을 포함하여 그 사이 구간)
  • 부호 부분(Sign)
    • (-1)^s
    • bit[32], 총 1bit
  • (-1)^S X F X 2^E

나머지 내용

  • (추후 업데이트)

Leave a Comment